자가소화작용
[ autophagy, 自家消化作用 ]
세균이 자신의 소기관이나 세포성분을 분해하는 과정. 세포 외에서 고분자를 음작용이나 식작용 등의 세포내 섭취에 의해 받아들이는 헤테로파지와 대비할 수 있다. 세포가 영양소 결핍에 반응하여 자신의 단백질을 분해하거나, 세포의 재구축 등의 과정에서 불필요한 세포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작용한다. 세포 성분은 소포체에 유래하는 막에 둘러싸여 자식식포을 형성하고, 또한 리소솜과 융합하여 자식파고리소솜을 형성하여 분해하게 한다. 자식작용은 아미노산, 호르몬, 단백질 억제제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가소화작용 [autophagy, 自家消化作用]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도서출판 여초)
시험이 끝나서 오랜만에 포스팅 합니닷
autophagy는 apoptosis 와는 다른 작용으로 세포를 사멸하게 만드는 작용인데, 보통 apoptosis와 같이 일어나지만
따로 일어날 수도 있다. cell proliferation assay에서 세포 수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면 크게 apoptosis, cell cycle arrest,
autophagy 이 셋 중 하나, 혹은 둘 아니면 전부 가 일어나서 줄어들었다고 예측할 수 있다.
보통을 가장 흔한(?) apoptosis나 cell cycle arrest 를 확인하지만 이 두가지가 일어나지 않았는데 세포수가 줄어든다면 autophagy
를 의심해볼 수 있겠다.
이는 PCR이나 westurn blot 으로도 확인 할 수 있지만 autophagy의 경우 일어나면 세포에 구멍이 뚫리는 현상을 현미경을 통해 확
인할 수 있으므로
육안으로도 체크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역시 가장 확실한건 PCR이나 westur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