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일론의 합성
♦ 실험일자 :
♦ 실험목표 : 최초의 합성고분자였던 나일론의 합성을 통하여 고분자의 특성을 이해한다.
♦ Key word : 중합반응, 고분자합성, 단량체, 작용기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단량체(monomer)인 소단위체들이 반복적으로 결합된 분자를 고분자(polymer) 또는 거대분자(macromolecule)라고 한다. 보통 수백개에서 수십만 개의 원자들이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복잡한 구조의 분자를 말한다.
헥사메틸렌다이아민은 물에는 잘 녹지만 다이클로로메탄이나 사염화탄소와 같은 유기용매에는 잘 녹지 않는다. 한편 염화세바코일은 물에는 잘 녹지 않고 유기 용매에 잘 녹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수산화 나트륨을 촉매로 포함하는 수용액과 유기 용매 사이의 계면에서 중합반응이 진행되어 나일론 6,10이 생성된다. 수용액이나 유기 용매에 잘 녹는 발광물질을 첨가하면 색이 있는 나일론을 만들 수 있다.
♦ 실험기구 및 시약
저울 핀셋
눈금피펫, 눈금실린더, 유리막대
비이커 250mL 핵사메틸렌디아민
젓게 염화세바코일
NaOH 페놀프탈레인 용액
♦ 실험방법
1) 250mL 비이커에 디클로로메탄 50 mL를 넣고 눈금피펫으로 염화세바코일 1.0mL를 넣고 녹인다.
2) 다른 100 mL비이커에 증류수 50mL를 넣고 핵사메틸렌디아민 2.3g과 NaOH 0.4g , 페놀프탈레인
용액 2 - 3 방울을 넣어서 잘 저어준다.
3) 2)의 용액을 1)의 용액이 담긴 비이커에 벽을 따라서 서서히 부어 넣으면 용액의 계면에서 나일
론 필름이 생성된다.
4) 생성된 나일론 필름을 그림처럼 핀셋으로 조심스럽게 끌어올려 유리 막대에 감는다. 더 이상 생
성되지 않을 때까지 감아올린다.
5) 아세톤:물= 1:1 혼합용매로 씻어서 말린다.
♦ 실험결과
나일론의 이론적 수득량은?
실제 수득량은 ?
수득율은?
NaOH를 사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 분석 및 토의
'일반화학 실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보가드로수의 결정 (0) | 2015.04.07 |
---|---|
비누화 반응 (0) | 2015.04.07 |
산염기적정(아스피린의 순도 결정) (0) | 2015.04.07 |
아스피린의 합성 (1) | 2015.04.07 |
재결정과 거르기 (0) | 201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