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습 보고서 정리

그람 염색 실습

목차

 

 

 

1. 실험목적 및 실험도구, 재료

 

 

 

2. 그람염색의 실험방법 및 결과

 

 

 

 

 

 

 

 

 

 

 

 

 

 

 

 

 

 

 

실험목적

 

 

미생물은 눈으로 볼 수 없는 종이 대부분인데, 그들은 현미경을 통해서 관찰 할 수 있다.

 

이 때, 현미경을 통한 관찰에서 그 미생물을 좀 더 정확하게 관찰하기 위해 또는 그 미생물

 

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염색’ 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미생물에 색이 입혀져 보다

 

가시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이번 실험에서는 많은 염색법 중 ‘그람염색’ 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도구 및 재료

 

 

알코올램프, 슬라이드 글라스, 증류수,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 사포라닌 용액, 요오드 용액

 

 

 

 

 

 

 

 

 

 

 

그람염색의 실험방법 및 결과

 

그람염색은 염색 유무를 통해 그람양성과 그람음성균으로 분류 할 수 있게 해주는 염색법이다. 그람양성균의 경우 처리해준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이 세포안에 남아있어서 보라색을 띄게되고, 음성균의 경우 세포벽이 얇아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이 에탄올에 씻겨나가서 탈색되어 무색이 된다. 이 때 사포라닌을 이용한 counter stain으로 그람음성균은 분홍색을 띄게 된다, 양성균의 경우도 사포라닌으로 염색이 되지만 남아있는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에 의해 그 색이 보이지 않아 두 균은 색의 차이를 보이게 된다.

 

 

 

 

 

 

 

 

 

 

 

<배지에서 배양된 박테리아가 담긴 Dish>

 

 

1. Dish의 콜로니에서 균을 채집한 뒤 슬라이드 글라스에 적당히 펴발라준다.

 

 

2. 그 후 알코올 램프로 간접적으로 가열해서 균을 고정시킨다.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을 처리한 슬라이드 글라스>

 

3.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을 채취한 균 위에 한 방울 떨어트리고 1분 동안 방치한다.(염색)

 

4. 그 후 증류수로 균이 쓸려가지 않도록 주의해서 워싱한다.

 

5. 다시 알코올램프로 간접가열한다.

 

6. 그 후 요오드를 한 방울 떨어트리고 1분 동안 방치한다.(고정)

 

7. 다시 증류수로 균이 쓸려가지 않도록 주의해서 워싱한다.

 

8. 그 후 에탄올을 한 방울 떨어트리고 30초 방치한다.(탈색)

 

9. 증류수로 워싱한다.

 

10. 사포라닌을 한 방울 떨어트리고 1분 동안 방치한다. (Counter Stain)

 

11. 증류수로 워싱한다.

 

12. 현미경을 보기전에 에멀젼 용액을 한 방울 떨어트려 굴절을 방지한다.

 

13.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실험결과에 대한 고찰

 

<현미경으로 관찰한 나의 그람염색 시도 된 슬라이드 글라스>

 

실험 첫 번째 단계인 콜로니에서 균을 채취할 때, 실수로 배지까지 채취해 버린 것이 실패에 가장 큰 요인이었던 것 같다. 붉게 염색된 것이 있긴 하지만 배지라고 생각되며, 관찰시 동글동글한 세포 같은 게 보이는데 아마 연쇄상구균 혹은 구균 같은 종류의 미생물이 이번 실험에 사용 됐으리라 짐작한다.

 

 

 

이미지까지 있는 실습 보고서는 파일첨부.

 

2학년 때 만든 보고서라 부족한 점이 많이 보인다.

 

유과학및실습 그람염색.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