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험 프로토콜/Treatment

Treatment

 

추출물이나 시약을 배지에 첨가하여 그 효능을 알아 보거나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 낼 때 자주 사용하는 방법.

보통 50 100 200 400 800ppm 까지 사용하며, 대부분의 물질이 800ppm 정도에서는 독성을 나타내므로 그 이상은 의미가 없다고 볼 수 있다.

 

PPM(Part per million)이란 100만분율로, 어떤 물질 내에서 특정한 물질이 얼마나 들어가 있는지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식염수 1000g 중 식염을 10g 함유한 경우는 10/1000000 x 1000000 = 10ppm 이 된다.

만약 x 라는 추출물을 배지에 10000ppm 첨가하여 만들고 싶다면

배지 10ml 에 0.01g 추출물을 첨가하면 된다.

이 경우는 10ml = 0.01L 이고 0.01g = 10mg 이므로

0.01L에 10mg의 추출물이 함유되 있는 배지는 10000ppm 추출물 배지가 되는 것이다.

10,000ppm = 10,000mg/L = 10,000mg/1,000mL = 10mg/mL

 

*CCK-8 이나 NO assay 의 경우 96well plate에 Treatment 하기 때문에 피펫팅에 주의해야 한다.

RNA isolation 이나 Protein isolation 을 위한 treatment의 경우 6well plate에 비교적 대용량을 처리하기 때문에 피펫팅 기술에 영향들 덜 받는다.

 

tip. 96well에 treatmet 시 1 well 당 100ul 이므로 11ul 의 원하는 ppm의 10배 농도를 가진 추출물배지를 처리하면 총 111ul의 원하는 추출물 ppm 이 처리된 well이 된다

ex) 만약 100ppm을 처리 하기 원한다면

 100ul + 1000ppm 의 11ul을 처리할 경우 111ul 의 100ppm 추출물 배지가 된다.

6well도 마찬가지로 200ul에 10x ppm의 추출물 배지 22ul를 처리할 경우 222ul 의 x ppm 추출물 배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