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게가 1.36㎏인 끈적끈적한 인체의 한 부분이 우리들의 모든 생각과 기억, 움직임과 감정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세상을 인지할 수 있게 도와주는 성능과 효율성이 뛰어난 이 슈퍼컴퓨터는 다름아닌 바로 우리의 뇌입니다. 하지만 이 슈퍼컴퓨터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 우리를 속이며, 우리를 생각의 함정으로 빠지게도 합니다. 뇌의 잘못된 판단으로 착각에 빠지는 사례를 통해 뇌가 어떻게 우리를 속이고 있고, 우리는 왜 이 속임수에 넘어가 믿고 행동하고 있는지 분석해 봅니다.
기억력 게임
- 기억에서 비롯된 오류
기억이란 우리의 생각보다 좀 더 복잡한 모양입니다. 처음으로 학교에 갔던 날을 추억할 때나 오랜만에 만난 친구를 알아볼 때 주차장에 세워 둔 차의 위치를 기억할 때, 우리의 기억력은 우리 삶의 이야기를 구성합니다. 하지만 우리의 기억이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닙니다. 우리는 스스로의 기억력이 뛰어나다고 믿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기억이 우리를 속이기도 합니다. 간단한 테스트를 해보겠습니다. 영상 속 배우들의 대사에만 집중해 보세요. 여러분이 들은 대사에 관한 문제가 나옵니다.
도덕성 게임
- 뇌의 도덕적 계산법은?
여러분의 도덕성을 시험해 보겠습니다. 여러분은 철길 옆에 서 있습니다. 그때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진 기차가 달려오기 시작합니다. 여러분은 안전하지만 앞쪽 철로에는 인부 네 명이 있습니다. 기차는 그들을 향해 돌진하고 있습니다. 피하라고 외쳐도 들리지 않을 거리입니다. 하지만 다행히 스위치를 당기면 기차의 진행 방향을 바꿀 수 있습니다. 하지만 두 번째 철로에도 인부 한 명이 있습니다. 이 상황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스위치를 당기면 네 명은 목숨을 구하겠지만 두 번째 철로의 한 명은 목숨을 잃게 됩니다. 여러분이 보고만 있으면 네 명이 기차에 치일 겁니다. 어떻게 하겠습니까? 네 명을 살리기 위해 한 명을 죽이겠습니까?
거리의 시민들의 대답을 들어 보면 만장일치로 스위치를 당겨 한 명을 희생시키고 네 명을 선택할 것이라고 합니다. 여러분도 같은 선택을 하셨나요? 이것은 여러분의 뇌가 도덕적 계산을 해서 네 명의 목숨이 한 명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한 겁니다. 그렇다면 좀 더 개인적인 상황이었다면 어떨까요? 희생당해야 하는 두 번째 철로에 있는 한 사람이 여러분과 가까운 친척이라면요? 대부분이 주저하지 않고 친척을 택합니다. 가족 한 명의 목숨이 타인 네 명보다 귀하다는 것은 얼핏 당연한 이야기처럼 들립니다. 타인 네 명 대신 친척 한 명을 선택하는 것이 감정에 의한 결정이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여기에는 생물학적인 본능도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른 모든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유전자를 다음 세대까지 남기고 싶어 합니다. 일부 심리학자들은 이를 위한 진화적 전략을 친족 선택'이라고 부릅니다.
머니게임
– 가격이 맛도 결정한다?
우리는 매일같이 돈을 사용할 뿐 아니라 돈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진짜 돈을 쉽게 구분하지 못합니다. 그 이유는 우리의 뇌가 돈을 보는 방식 때문입니다. 좀 더 자세한 설명을 위해 가격이 맛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겠습니다. 행인들에게 두 가지의 케이크를 시식하게 합니다. 첫 번째 케이크의 가격은 15달러이고, 두 번째 케이크의 가격은 55달러입니다.
값싼 케이크를 먹은 사람들의 반응은 썩 좋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15달러짜리 케이크를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이번에는 55달러짜리 케이크의 시식 반응을 들어 보겠습니다. 비싼 케이크의 반응은 굉장히 좋았습니다. 훨씬 촉촉하고 크림도 훨씬 낫다는 반응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실험에는 반전이 숨어 있었습니다. 1번 케이크와 2번 케이크는 똑같은 제품이었습니다. 같은 재료를 써서 같은 오븐으로 같은 시간 동안 구웠습니다. 그런데도 참가자들은 두 케이크의 맛이 전혀 다르다고 생각했습니다. 뇌가 차이를 느낀 이유는 무엇일까요? 가격이 높은 제품의 품질이 더 좋을 거라는 생각은 우리가 흔히 내리는 판단입니다.
더 비싼 케이크를 먹고 있다는 생각이 우리 뇌 속의 무엇인가를 자극한 겁니다. 우리의 뇌는 가치에 따라 쾌감을 결정하는 복잡한 레시피를 지니고 있습니다. 우리의 뇌는 항상 비교하려고 합니다. 참가자들이 두 케이크가 다르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가격은 쾌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되었습니다. 가격이 높으면 품질이 좋다는 인식 때문에 어떤 음식의 가격이 더 높다는 생각만으로도 뇌에서 보상과 연결된 부분이 활성화되면서 우리는 케이크의 맛을 더 즐길 수 있게 됩니다.
- 글, 영상/사진 제공
- 내셔널지오그래픽채널 http://www.ngckorea.com
- [관련 방송]
- 내셔널지오그래픽채널 “ENTERTAIN YOUR BRAIN – 브레인 게임4” 매주 월요일 밤 10시 <출처 : 네이버 캐스트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57&contents_id=86470>
'과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이 독을 만든다 (0) | 2015.04.10 |
---|---|
독성 순위 (0) | 2015.04.10 |
닭이 먼저일까 달걀이 먼저일까? (0) | 2015.04.03 |
세포실험에 있어서 Passage 의 중요성 (0) | 2015.04.02 |
동물실험과 세포실험의 필요성 (1) | 201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