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효량은 약 효능의 지표 유효량은 약 효능의 지표 한 가지 질병에 듣는 약이 꼭 한 가지란 법은 없다. 다양한 종류의 약 중에서 어느 약이 효과가 있을지, 그 효능을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일이 약 개발에도 매우 중요하다. 이 같은 목적으로 개발된 지표가 ED(Effect Dose)이다. 원리는 독의 지표인 LD랑 똑같다. 즉, 같은 병을 앓는 실험대상 집단에 약을 투여하고 치유된 비율을 조사한다. 복욕량이 적을 때는 거의 치유되지 않지만 최소유효량인 ED0에 달하면 병이 낫는 사람이 생기며, 최대 유효량인 ED100에 달하면 거의 모든 실험대상의 병이 낫는다. 그리고 실험대상의 50%가 치유되었을 때의 복용량을 ED50이라고 한다. ED50이 적을수록 효과가 큰 약이라고 할 수 있다 ! 그런데 약은 복욕량이 적을 때는 약으로서 효.. 더보기
독의 강한 정도를 나타내는 치사량 독의 강한 정도를 나타내는 치사량 독에도 독성이 강한 것과 약한 것이 있다. 그렇다면 독성 정도는 어떻게 측정할까? 사람도 술에 강한 사람과 약한 사람이 있듯이 독에도 강한 사람과 약한 사람이 분명히 있다. 반수치사량(LD50)은 검체 상태에 좌우되지 않고 독성 정도를 과학적으로 표현 하기 위해 고안 된 방법이다. '독성 순위' 게시글에 제시된 수치가 바로 이것 이다. 예를 들면, 실험 쥐 100마리에게 같은 양의 독을 먹인다. 독이 극소량 일 때는 한마리도 죽지 않지만, 독의 양을 점차 늘려가다가 일정량이 되면 가장 약한 쥐부터 한 마리씩 죽기 시작한다. 계속 독을 늘리면 더 많은 쥐가 목숨을 잃는다. 그리고 일정량에 도달하면 실험쥐의 50%가 죽는다. 이 때의 양을 LD50, 50%의 치사량이라고 하.. 더보기
양이 독을 만든다 양이 독을 만든다 술은 적당량을 즐기면 맛도 좋고 몸에도 좋지만 권하는 대로 다 받아마시면 순식간에 독으로 돌변한다. 그런데 이런 점은 물도 마찬가지 ! 미국의 한 물마시기 대회에서는 준우승 한 여성이 물 중독으로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런 것은 무엇이든 마찬가지인데 적당량을 섭취하면 우리 몸의 영양분이 되어 건강하게 해주지만, 지나치게 되면 숨겨뒀던 본성을 드러내며 독으로 돌변한다. 옛날 그리스인들은 '양이 독을 만든다' 라는 말을 했는데, 이 상황에 꼭 맞는 말인 것 같다. 그대로 해석하면 "독이 되는 것은 물질의 성질이 아니라 '양' 이다" 라는 뜻으로 이는 "무엇이든 과량 섭취하면 독이 된다" 는 뜻이다. 이 말을 뒤집어 살펴보면, 우리가 평소에 '독' 이라고 부르는 물질은 '소량' 으로 사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