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성분 분석법 (Dry matter, Crude fiber,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Nitrogen free extract)
1. 실험용어 Dry Matter : 일반성분분석에서, 수분을 전부 제거한 건조물. Crude Fiber : 일반성분분석에서, 시료를 뜨거운 산 및 염기 처리했을 때 용해되지 않는 유기 성분으로 , 단위동물은 소화가 불가능하며 반추동물의 경우 반추위의 미생물로 인하여 소화가 된다. Crude Protein : 일반성분분석에서, 시료 내 총 질소함량을 구하고 여기에 단백질 환산계수인 6.25를 곱하여 구할 수 있는 조단백질 함량. Crude Fat : 일반성분분석에서, 에테르로 추출되는 성분. Crude Ash : 일반성분분석에서, 550℃ 로 가열해서 연소시킨 후에 남는 성분. Dry Oven : 고온처리하여 건조시키는 기기. Desiccator : 물체를 건조시키거나 보관할 때 쓰는 것으로, 밑에다 건..
더보기
자외선차단제(썬크림) 과 비타민 D
햇볕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이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지역이나 계절, 그리고 고도 차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빛의 에너지 기준으로는 대략 자외선6.7%, 가시광선 44.7%, 적외선 48.6% 로 구성 되어있다. 파장 별로 구분을 해보면 자외선(약 400 nm 이하), 가시광선(400-800 nm), 적외선(800 nm 이상)순으로 파장이 길어진다(빨주노초파남보로 기억하면 쉽다 !). 자외선은 다시 자외선 A, B, C로 나눠지는데. 가시광선에 가장 근접한 자외선 A(파장 400-315 nm)부터 자외선 B(파장 315-280 nm), 자외선 C(파장 280 nm 이하)순으로 파장이 짧아진다. 파장이 짧은 자외선은 에너지가 커서 가시광선, 적외선 보다 더 심각한 피부 손상을 일으킨다 . 그렇지만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