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정보

저널이 SCI 혹은 SCIE 인지 알아 보는 법 http://www.thomsonscientific.com/cgi-bin/jrnlst/jlsearch.cgi?PC=K 여기는 SCI 논문 검색하는 곳 http://science.thomsonreuters.com/cgi-bin/jrnlst/jlsearch.cgi?PC=D&Error=1 여기는 SCIE 논문 검색하는 곳 더보기
비윤리적 실험인 '아기 알버트 실험' 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개에게 먹이를 줄 때마다 종을 울리면, 나중에는 종만 울려도 개는 침을 흘린다. 유명하게 알려진 파블로프의 조건반사 실험입니다. 이걸 인간에게도 적용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한 남자가 위험한 의문을 가졌습니다. 그렇게 시작된 비윤리적 실험 아기 알버트 Little Albert 존스홉킨스 대학의 행동학자 와트슨은 1919년 우연히 개에게 엄청난 공포를 느끼는 아이를 목격합니다. 그리고 생각하죠. "만약 개가 아이에게 공포를 일으키는 존재라면, 그 공포를 다른 동물로도 전이시킬 수 있지 않을까?" 그는 건강하고 둔감하며 감정을 느낄 수 없는 실험재료를 찾습니다. 바로 9개월 된 아기 알버트입니다. 존스 홉킨스 대학 근처 탁아소 보모로 일하던 여인의 아기였습니다. 와트슨은 '아기가 태생적으로 공포를 느끼는 동물.. 더보기
메탄 때문에 실명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메탄 때문에 실명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에탄올(Ethanol)은 마시면 식욕이 증가하고 유쾌해지면서 말이 많아진다고 하여 '백약의 수장 이라고도 불린다. 이와 달리 에탄올과 구조가 비슷한 메탄올(Methanol)은 엄연한 '독' 이다. 조금만 마셔도 실명에 이르고 대량으로 마시면 목숨을 잃게되는데 왜 그런것일까? 살아있는 생물은 밥이든 술이든 일단 체내로 들어온 유기물은 그것이 무엇이던지 산화시켜서 영양원으로 사용한다. 에탄올은 맨 먼저 알코올 산화효소인 알코올 탈수효소(alcohol dehydogenase)로 산화되어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가 된다. 이어서 알데히드 분해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로 산화되어 아세트산(acetic acid)이 되고, 더 산.. 더보기
메르스(중동 호흡기 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증상 및 예방법, 소문에 대한 진실은? 메르스(중동 호흡기 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2012년 9월 24일 알리 모하메드 자키 박사가 사우디아바리아에서 발견한 신종 전염병으로, 베타코로나바이러스의 한 속인 메르스-코 로나 바이러스(MERS-CoV)에 의해 일어나며, 감기 바이러스의 대명사인 코로나 바이러스의 일종답게 신체접촉, 점액, 공기호흡을 포함한 거의 대부분의 루트로 감염될 수 있다.잠복기가 1주일~14일 가량이며 21세기 초 전 세계를 강타했던 같은 코로나 바이러스 원인의 전염병인 사스(SARS)와 비교되고 있다. 사스와 마찬가지로 고열, 기침, 호흡곤란 등 심한 호흡기 증상을 일으킨다. 다만 사 스와는 달리 급성 신부전증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으로 사스보다 치사율이 6배가량 높다는 조사 결과가.. 더보기
연령별 체액 조성비의 차이 연령별 체액 조성비의 차이 1. 체액이란? 체액은 혈액, 림프액, 조직액 등 체내의 액체로, 체내를 이동하며 조직세포에 영양분이나 산소를 운반하고 노폐물을 운반, 제거하며, 또한 병원체의 박멸과 체온조절 등의 기능이 있다 . 2. 항상성이란? 생체의 기능이 효율적으로 수행되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체온•pH•삼투압이나 각 생화학 성분을 비롯하여 그 밖의 다른 체내의 환경(내부 환경)이 항상 어떤 좁은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을 내부 환경의 항상성 유지라 부른다. 이 조절의 주역은 자율 신경계와 내분비계이고, 그 피드백기구와 길항적(拮抗的) 이중 지배에 의해 내부 환경의 항상성은 정확히 유지되고 있다. 항상성의 파탄은 질병 또는 죽음으로 통한다. 예를 들어서, 운동시에 호흡•순환이 촉.. 더보기
C. elegans C. elegans C. elegans는 선형동물이고 흙속에서 사는 1mm 정도 되는 작은 벌레이다. 이 벌레가 유용한 이유는 최초로 유전자서열이 모두 알려진 동물이라서, 유전자 실험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자웅동체의 경우 302개의 뉴런으로 구성되어있고 수컷의 경우는 383개, 그리고 이 신경들의 분포가 완전히 맵핑 되어있다. 무슨 의미냐 하면 뉴런이 몇개 있고, 무슨 뉴런으로 구성 되어 있고, 다른 뉴런들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등을 모두 알고 있다는 말이다. 이런게 가능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이 벌레가 매우 간단한 생물(뉴런 숫자가 매우 적음)이라는 것 때문 일 것이다. 또 이 뉴런의 연결성 전부를 1986년에 John Graham White라는 훌륭한 과학자가 모조리 전자현미경으로 찍어냈기 때문.. 더보기
영양성분 분석법 (Dry matter, Crude fiber,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Nitrogen free extract) 1. 실험용어 Dry Matter : 일반성분분석에서, 수분을 전부 제거한 건조물. Crude Fiber : 일반성분분석에서, 시료를 뜨거운 산 및 염기 처리했을 때 용해되지 않는 유기 성분으로 , 단위동물은 소화가 불가능하며 반추동물의 경우 반추위의 미생물로 인하여 소화가 된다. Crude Protein : 일반성분분석에서, 시료 내 총 질소함량을 구하고 여기에 단백질 환산계수인 6.25를 곱하여 구할 수 있는 조단백질 함량. Crude Fat : 일반성분분석에서, 에테르로 추출되는 성분. Crude Ash : 일반성분분석에서, 550℃ 로 가열해서 연소시킨 후에 남는 성분. Dry Oven : 고온처리하여 건조시키는 기기. Desiccator : 물체를 건조시키거나 보관할 때 쓰는 것으로, 밑에다 건.. 더보기
버섯 + 술 = 독 !? + 전 세계에 분포해 있는 버섯 종류는 적어도 1만 종 이상이 될 것이라고 유츄하는데, 그 중 1/3은 독버섯이다, 그리고 그 독의 효과는 각기 다르다. 그 중에 '두엄먹물버섯' 은 맛좋은 버섯이지만 술과 함께 먹으면 큰일이 나게된다. 회색 빛을 띠는 이 버섯은 하룻밤 지나면 갓이 검게 변하면서 흐물흐물해지게 되는데 이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다. 국물 요리에 넣거나 식초로 요리하면 맛있다고 알려진 이 버섯에는 '코프린 (coprine)' 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 성분은 효소의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의 분해 활동을 방해한다. 그 때문에 에탄올이 분해되면서 만들어진 유해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가 체내에 남게되고, 그 결과 상상을 불허하는 숙취가 오래 지속되며, 그 정도가 심하면 생명.. 더보기
달걀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으로 달걀을 파헤치다 -달걀에 대한 오해와 진실- 요즘 어린 세대는 달걀껍질의 색이 ‘옅은 갈색’ 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것 이다. 실제로 흰색 달걀을 보여주면 대부분 ‘오리 알’ 이나 다른 종류의 알이라고 대답한다. 그러나 우리가 어렸을 때 분명 ‘하얀색 껍질’ 의 달걀을 본 적이 있는데, 이 하얀색 달걀은 왜 사라진 걸까? 보통의 사람에게 하얀색 달걀과 옅은 갈색의 우리가 흔히 아는 달걀 중에 하나를 고르라고 하면 대부분은 갈색의 달걀을 고른다, 그 이유는 ‘영양분이 더 많을 것 같다’ 가 대부분이다. 그렇다면 달걀껍질의 색 차이가 정말 영양분과 관련이 있을까? 대답은 ‘No', 달걀껍질 색의 차이는 단순하게 그 달걀을 낳은 닭의 ’깃털 색‘ 차이다. 즉, 닭의 깃털 색을 결정하는 색소.. 더보기
자외선차단제(썬크림) 과 비타민 D 햇볕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이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지역이나 계절, 그리고 고도 차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빛의 에너지 기준으로는 대략 자외선6.7%, 가시광선 44.7%, 적외선 48.6% 로 구성 되어있다. 파장 별로 구분을 해보면 자외선(약 400 nm 이하), 가시광선(400-800 nm), 적외선(800 nm 이상)순으로 파장이 길어진다(빨주노초파남보로 기억하면 쉽다 !). 자외선은 다시 자외선 A, B, C로 나눠지는데. 가시광선에 가장 근접한 자외선 A(파장 400-315 nm)부터 자외선 B(파장 315-280 nm), 자외선 C(파장 280 nm 이하)순으로 파장이 짧아진다. 파장이 짧은 자외선은 에너지가 커서 가시광선, 적외선 보다 더 심각한 피부 손상을 일으킨다 . 그렇지만 .. 더보기